한글이 안쳐질때 :: 초간단 해결법
안녕하세요. 호빵입니다. 오늘은 한글이 안쳐질때 3초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보통 포맷할 때 키보드 설정을 잘못하거나 혹은
잘못된 OS를 설치할 경우 이런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데요..
저도 처음에 방법을 몰라서 되게 답답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
더이상 혼자 끙끙 앓지 마시고 이 방법대로 하시면
3분만에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ㅋㅋ
첫번째로 한글이 안쳐질때는 기본적으로 재부팅을 하는게 가장 정석입니다.
사실 재부팅 한번만으로도 웬만한 오류들은 다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SSD 많이들 쓰셔서 부팅하는데 1분도 안걸리니까
먼저 재부팅 한번 해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따라하시길 추천해드립니다.
(윈도우 + R 키 누르는 방법입니다. ^^ 한글이 안쳐질때 꼭 애용하세요.)
먼저 윈도우키+R 키를 누르신 후
여기서 입력창에 ctfmon.exe 를 입력하신 후 확인을 누르시면
자동으로 실행이 되는데요. 보통은 이 방법대로 하시면 다 해결이 됩니다.
^^ 정말 간단하죠?
ctfmon.exe 파일이 없을 때 해결 법
먼저 윈도우 왼쪽 하단 Windows 검색 란에 regedit 이라고 검색해주세요~
혹은 윈도우키+r 누르시고 regedit 치시고 실행하셔도 됩니다.
저는 윈도우10 을 써서 저렇게 나오는데요~ 윈도우7 도 별 차이는 없습니다. ㅎㅎ 윈도우7은 시작 누르시고
검색에 regedit 치시면 되요~
regedit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위와 같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뜨는데요~
여기서 눈 크게 뜨고 잘 보셔야 합니다!!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ft 폴더로 들어가주세요!
이름이 헷갈린게 많이 때문에 잘 확인하셔야 됩니다.
Microsoft 폴더에 들어가시면 하위 폴더에 CurrentVersion 폴더가 나옵니다.
또 그 하위 폴더로 들어가보면 Run 이라는 폴더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오른쪽 빈 여백에 오른쪽 클릭을 하신 후
새로만들기->문자열 값을 선택해주세요. 그럼 새로운 레지스트리 파일이 추가가 됩니다.
그 파일을 더블클릭 하신 후 값 데이터를 ctmon 으로 바꿔주시고 문자열을 ctfmon"="CTFMON.exe 이렇게 바꿔주시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럼 새로운 ctfmon.exe 파일이 생성되어 한글이 안쳐질때 고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한글이 안쳐질때 레지스트리 파일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 밖에 방법들
이 밖에도 다른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는데요. 사실 전 위의 방법보다는
이 방법이 더 간단해서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바로 인터넷 창을 열고 주소창에 한글이 쳐지나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도 더 간단해서 자주 애용합니다 ㅎㅎ
또 다른 방법 중 하나는 윈도우 탐색키를 열고 로컬디스크 (C:) -> Windows -> System32
폴더안에 들어가 ctfmon.exe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이 방법보다는 첫번째 방법처럼
윈도우키 + R 키 눌러서 하는게 더 빠릅니다. ㅋㅋ
마지막으로 내 PC 에 들어가셔서 내 PC 검색 란에 ctfmon.exe 파일을 검색해서 실행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역시 가장 간편한건 윈도우키 + R 키 눌러서 ctfmon.exe 파일을 실행시켜서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 방법을 찾는게 가장 쉽습니다.
여기까지 한글이 안쳐질때 쉽게 고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ㅎㅎ
더이상 한글이 안쳐질때 고생하지 마시고 쉽게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