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은술의고집입니다. 오늘은 전기요금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쌀쌀한 가을이 시작됐는데요. 요즘 사계절이 없어지고 이계절이라는 말이 생길정도로 봄, 가을이 점점 짧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쌀쌀하다는 느낌보다는 춥다라는 느낌이 더 강한데요. 겨울같은 겨울인 거 같아요. ㅠㅠ 여름에는 에어컨을 많이 써도 전기요금 하계 할인도 있어서 참 좋았는데 찾아보니 동계할인은 없더라고요.. ㅋㅋ 






  올해는 전기요금 인상과 누진세 등 다양한 이슈들이 가득한 한해였는데요. 에어컨은 잘 틀지 않아도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 사용량이 많은 저로서는 전기요금은 가스요금과 더불어 항상 골칫덩어리입니다. 저처럼 자취하는 사람들에겐 방세와 더불어 공과금은 항상 잘 계산해야 다음달 생활비에 지장이 없기에 항상 얼마 나올지 예상하고 미리 준비해놓는 편인데요. 이런 전기요금을 미리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는거 알고 계신가요?





 이러한 고지서가 날라오면 한전에서 자신이 사용한 전기양을 kWh 로 변환해 그에 맞는 요금으로 알려주곤 하지만 고지서가 날라오기 전에 미리 계산하고 요금을 미리 예상한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전기요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전기요금계산기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한국전력공사, 즉 한전 홈페이지에서 계산하는 방법과 네이버에서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둘 다 설명해드릴텐데 먼저 한전 홈페이지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한국전력공사라고 검색하시거나 밑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한전 홈페이지로 이동해주세요.



한국전력공사 : http://home.kepco.co.kr





 한전 홈페이지입니다. 여기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천천히 하나하나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단 메뉴에 빨간색 테두리로 표시한 사이버지점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는 고객들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따로 분류해놓은 페이지입니다. 여기서는 전기요금 간편조회와 상세조회 및 요금 납부도 현금뿐만 아니라 카드로도 할 수 있고 요금계산기 및 전기요금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요금계산을 할거니까 요금계산·비교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나오는데요. 여기서 전기요금계산기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전기요금계산기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주택용 하계할인 및 주택용 이사요금, 아파트/오피스텔 요금비교 등 다양한 전기요금제를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계약종별을 선택하셔야 하는데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정도로 용도에 따른 분류와 시간대별 요금사용, 심야전력 등 시간대 별로도 계약종별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오피스텔에 살고 있어서 용도는 주택용(저압)으로 선택했습니다. 주거구분은 제가 현재 거주하고 있으니 주거용으로 하고 저는 혼자 살고 있기 때문에..(ㅠㅠ) 대가족/생명유지장치와 복지할인요금 모두 해당없음으로 체크했습니다.






 그리고 사용량은 매월 400kWh 정도 사용하고 있어서 저정도로 잡아봤어요. 다 작성하셨으면 요금계산 버튼을 눌러주세요.





 계산된 결과가 78,850원으로 나오네요. 생각보다 조금 나온 거 같아요. 저번달에는 에어컨도 어느정도 틀고 컴퓨터도 많이 써서 10만원은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다행이네요. 





 그리고 4번 상세계산내역에 보시면 월간 사용시 기본요금이나 전력량요금, 부가치세 그리고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상세한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한전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법이었고요. 마지막으로 네이버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네이버에서 전기요금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주택용 용도에 한해서 간단하게 사용량에 맞는 예상 전기요금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