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은술의고집입니다. 오늘은 마이너스 통장 만들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너스 통장은 간단하게 설명해드리면 대출의 한 종류인데요. 보통 직장인들은 목돈이 필요할 때 담보가 없기 때문에 신용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 목돈을 구하는 편인데요.






 자신의 주거래 은행이나 금리가 저렴한 은행들을 방문해 자신에게 맞는 마통만 만들어서 잘 관리만 해준다면 재테크 특히 사회 초년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보통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직장인들은 직장을 다닌지 1년이 넘어야 금리가 저렴한 반면 마이너스 통장은 잘 알아보기만 한다면 직장을 다닌지 3개월 이상만 되면 자신의 직장에 따라 금리가 저렴한 경우가 있습니다.  소득 증빙 서류를 제출하거나 거래 실적으로 승인을 해주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혹여라도 퇴사를 하거나 실업자가 됐을 경우엔 통장 만드는게 힘드니까 미리 미리 만들어두시는게 좋아요.





 마이너스 통장도 엄연히 신용대출이므로 일시적으로 대출을 받아 상환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조금 더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류는 은행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직장인의 경우 재직증명서와 원천징수 영수증이 필수고요. 자신의 신용등급과 연 소득에 따라 최대 금액이 달라집니다. 






 신용등급을 위해선 체크카드보단 신용카드를 사용해서 선결제까지 해주신다면 제일 좋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실적까지만 채우고 연체되지 않고 결제만 안늦게 해주신다면 꾸준히 오르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마이너스 통장은 보통 단기간에 큰 금액이 필요할 때 유용한데요. 소액 대출은 은행에서 잘 안해주고 예를 들어 전세금 때문에 1주일 내외로 3천만원 정도의 목돈이 필요한 경우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게 되면 이자는 하루 몇백원 수준으로 얼마 되지도 않습니다.





 보통 1년 단위로 연장을 하는데요. 직장인이라면 1년마다 재직증명서를 제출해야합니다. 금리가 일반 대출 상품들에 비해 조금 더 높은편이라 항상 유의하셔야 하고 중도 상환 수수료가 있는지도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한도는 통상적으로 연봉의 60% 라고 보면 되지만 직장의 신용등급이나 은행 거래 실적에 따라 1.5배까지 되는 사례들도 있으니 여러 은행들을 방문하셔서 잘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마이너스 통장을 만드실 땐 시중에 농협,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우체국 등 모든 은행에서 취급을 하고 있으니 자신의 주거래 은행은 물론 다른 은행들도 괜찮은 곳이 있으면 방문하셔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마통 만들기 및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날이 갈수록 신용등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데 내려갈 땐 한순간이더라도 올리기는 참 힘든데 신용등급 인 거 같아요. 어떤 금융 거래를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건 신용등급이니 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